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블록스 스튜디오 모델 충돌 설정 및 앵커 문제 해결

by robydachi 2025. 7. 12.

게임을 제작하거나 AR/VR 콘텐츠를 만들 때, 캐릭터 모델이나 오브젝트를 배치해보면 종종 "모델이 공중에 떠 있어요!"라는 황당한 상황을 겪습니다.


“분명 바닥 위에 올렸는데도 공중에 붕 떠 있거나, 낙하하지 않아요.”

 

특히 Unity, Unreal Engine, Godot 등 게임 엔진을 사용할 때 자주 마주치는 문제입니다.

 

로블록스 스튜디오 모델 충돌 설정 및 앵커 문제 해결
로블록스 스튜디오 모델 충돌 설정 및 앵커 문제 해결

 

 

이 문제는 단순히 위치 좌표만의 문제일 수도 있고, 물리 엔진 충돌 설정(Collision), Rigidbody, 앵커(anchor), 지오메트리 위치 등 다양한 원인이 얽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델이 공중에 떠 있는 이유를 정확히 분석하고, 실제 땅에 자연스럽게 착지하도록 만드는 해결 방법 5가지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모델이 공중에 뜨는 주요 원인 5가지와 해결법

1) 바닥에 Collider(충돌체)가 없거나 비활성화됨
게임 엔진은 물리적인 충돌을 계산할 때, 충돌체(Collider)를 기준으로 오브젝트 간 충돌 및 접촉을 판단합니다. 만약 바닥 오브젝트에 Collider가 없다면, 모델은 그 위에 ‘서 있다’고 인식하지 못하고 공중에 머무르거나 무한 낙하하게 됩니다.

 

🛠 해결 방법

 

Unity
→ 바닥 오브젝트에 Box Collider 또는 Mesh Collider가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
→ Collider가 비활성화되어 있지 않은지 체크 (enabled = true)
→ 바닥 오브젝트가 ‘Static’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성능에도 도움이 됨

 

💡 팁: 바닥이 Plane이면 기본적으로 Box Collider가 붙어 있지만, 모델링 파일을 가져온 경우엔 직접 추가해야 합니다.

 

 

2) Rigidbody 누락 또는 설정 오류
게임 오브젝트가 중력의 영향을 받으려면, Rigidbody가 있어야 합니다. Rigidbody가 없다면 중력(Gravity)이 적용되지 않아 오브젝트가 공중에 고정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Unity
→ 모델에 Rigidbody 컴포넌트가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
→ Rigidbody 설정에서 Use Gravity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 isKinematic이 켜져 있으면 물리 계산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주의

 

💡 팁: 만약 Rigidbody가 있음에도 움직이지 않는다면, Constraints 항목에서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인지도 확인해보세요.

3) 앵커(Anchor) 또는 피벗(Pivot) 위치 문제
3D 모델링 도구나 Unity에서 오브젝트의 앵커 또는 피벗이 중심이 아닌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실제 배치되는 좌표와 시각적으로 보이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그 결과, 모델이 땅에 붙어 있는 것처럼 배치했는데도 공중에 떠 있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Unity
→ Scene 뷰에서 Pivot 모드로 확인 후, 위치 조정
→ 모델링 툴에서 피벗 위치를 조정하거나, 임시 빈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위치 재설정
→ 자식 오브젝트로 모델을 넣고 부모를 기준으로 위치 조정

 

💡 팁: 모델링 툴(Maya, Blender 등)에서 피벗을 바닥 중심으로 설정 후 Unity에 임포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