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로블록스 라이벌을 통해 배우는 게임 디자인 원리

by robydachi 2025. 6. 25.

– 인기 게임이 갖추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로블록스 ‘라이벌(Rivals)’을 통해 배우는 게임 디자인의 핵심 원리!

오늘은 로블록스 라이벌을 통해 배우는 게임 디자인 원리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합니다.

 

로블록스 라이벌을 통해 배우는 게임 디자인 원리
로블록스 라이벌을 통해 배우는 게임 디자인 원리

 


인기 게임 속에는 어떤 설계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요? 밸런스, 보상, 전략, 커뮤니티까지
성공하는 게임의 구조를 지금 확인해보세요.

‘재미있다’는 게임, 무엇이 다를까?

게임을 해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이 게임 진짜 잘 만들었다!”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왜 잘 만든 게임인지 설명해보라”고 하면 쉽게 대답하기 어렵습니다. 단순히 그래픽이 좋거나, 캐릭터가 귀여워서일 수도 있지만, 진짜 이유는 보이지 않는 설계, 즉 ‘게임 디자인 원리’에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블록스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라이벌(Rivals)’ 모드를 중심으로, 그 안에 숨어 있는 게임 디자인 원리를 분석해봅니다. 라이벌은 PvP 기반 대전형 콘텐츠이지만, 단순히 유저를 싸움 붙이는 것이 아니라 전략, 성장, 몰입, 반복성 등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재미'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살펴보면, 단순한 유저가 아니라 게임 기획자나 개발자,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도 ‘어떻게 게임을 설계해야 성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벌에 적용된 대표적 게임 디자인 원리

🔹 1) 밸런스 – 누구에게나 공정한 시작
라이벌은 4:4 팀 대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번 같은 캐릭터 능력치나 전투력이 부여되는 것이 아닙니다. 캐릭터마다 스킬과 역할이 다르고, 특정 맵에서는 유리한 클래스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패치를 통해 클래스 간 격차를 조절하며 유저들이 ‘내가 약해서 진 게 아니야’라고 느낄 수 있도록 공정성(balancing)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적용 원리: ‘강캐/약캐’ 논란이 없도록 지속적인 데이터 기반 밸런스 조정
🎮 설계 팁: 플레이어가 패배하더라도 “다음엔 이 전략을 써야지”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

 

🔹 2) 성장과 보상 – 반복을 유도하는 설계
라이벌은 매 시즌마다 ‘배틀패스’, ‘일일 퀘스트’, ‘업적’ 등 다양한 보상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플레이어는 단순히 승리하는 것 외에도, 특정 조건을 달성하거나 꾸준히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성장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러한 반복적 보상 설계는 도파민 루프(Dopamine Loop)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에 기반합니다. 적절한 타이밍의 보상은 유저가 게임을 자발적으로 반복하게 만드는 강력한 유인입니다.

 

🎮 적용 원리: 성취감 있는 목표 + 타이밍 좋은 보상 = 꾸준한 플레이 유지
🎮 설계 팁: 매일 보상을 주되, 플레이어가 ‘성장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시각적 요소 포함

 

🔹 3) 선택과 전략 – 단순한 조작에 깊이를 더하다
라이벌의 전투 자체는 단순합니다. WASD 이동, 마우스 클릭 공격. 하지만 클래스 선택, 스킬 조합, 맵별 전략, 상대방 움직임 예측 등으로 인해 ‘간단하지만 깊이 있는 플레이’가 가능해집니다.

이처럼 ‘선택의 폭’을 넓히고, 그에 따른 결과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구조는 유저로 하여금 매 순간 판단력과 전략을 활용하게 만듭니다.

 

🎮 적용 원리: ‘내가 직접 플레이를 통제하고 있다’는 감각 제공
🎮 설계 팁: 정답이 하나가 아닌 상황을 만들고, 유저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시

 

🔹 4) 사회성 – 경쟁과 협동의 균형
라이벌은 전형적인 경쟁 콘텐츠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안에 강한 사회적 요소가 내재돼 있습니다. 친구와 파티를 맺고, 클랜을 만들고, 팀플레이를 통해 승리를 이끌어내는 시스템은 ‘혼자 하는 게임’이 아닌 ‘같이 만드는 경험’을 강조합니다.

이런 사회적 설계는 유저가 게임을 떠나지 않게 만드는 핵심입니다. 사람과의 연결은 AI가 절대 줄 수 없는 경험이며, 게임의 지속성과 커뮤니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적용 원리: 경쟁 안에 협동 요소를 숨겨 유대감 강화
🎮 설계 팁: 친구 초대 보상, 팀플 전용 보너스, 커뮤니티 연동 기능 제공

성공하는 게임은 ‘기술’이 아닌 ‘설계’에 달렸다

로블록스 라이벌이 단기간에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비결은 단지 화려한 그래픽이나 마케팅 때문이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탄탄한 게임 디자인의 원리들이 반영된 구조적 설계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라이벌이 보여주는 게임 디자인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밸런스를 통한 공정함
  • 보상을 통한 반복 유도
  • 전략 선택의 다양성
  • 커뮤니티 중심의 사회적 설계

이러한 원리는 비단 ‘라이벌’뿐 아니라, 대부분의 인기 게임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임 디자인의 정석입니다.

 

앞으로 게임을 기획하거나 창작하고 싶은 분이라면, 혹은 유저 입장에서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고 싶다면, 이 원리들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세요. 로블록스처럼 오픈 플랫폼에서는 특히 이런 설계력이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